Skip to content
책자 구독 문의 031)780-9565 ~ 7 | 13509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68 발행인 김상복| odb@hcc.or.kr
후원하기후원하기
한국오늘의양식사 로고 한국오늘의양식사 로고 한국오늘의양식사 로고
  • Home
  • 오늘의 양식 보기
    • 오늘의 양식
    • VOD
    • 신앙성장 시리즈
    • 발행인의 글
  • 후원 광장
    • 후원 안내
  • 커뮤니티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FAQ
    • 게시판
  • 구독신청
    • 정기간행물 안내
    • 오늘의 양식 신청
    • 신앙성장시리즈 신청
    • 이메일 구독 신청
  • ODB 사역
    • 환영인사
    • 오늘의 양식 소개
    • 한국오늘의양식사 소개
    • ODB Ministries
    • 독자간증문
  • Home
  • 오늘의 양식 보기
    • 오늘의 양식
    • VOD
    • 신앙성장 시리즈
    • 발행인의 글
  • 후원 광장
    • 후원 안내
  • 커뮤니티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FAQ
    • 게시판
  • 구독신청
    • 정기간행물 안내
    • 오늘의 양식 신청
    • 신앙성장시리즈 신청
    • 이메일 구독 신청
  • ODB 사역
    • 환영인사
    • 오늘의 양식 소개
    • 한국오늘의양식사 소개
    • ODB Ministries
    • 독자간증문
홈으로/발행인의 글
발행인의 글한국오늘의양식사2020-12-02T10:18:53+09:00
  • 2020년~

  • 2016년

  • 2017년

  • 2018년

  • 2019년

  • 2020년~

다시 생각해 보라(2022년 2월)

작성자
한국오늘의양식사
작성일
2022-01-28 04:22
조회
90


다시 생각해 보라



인간에게 공통적인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고난일 것이다. 지금까지 피해왔다면 다행이지만 언젠가는 찾아온다.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다 함께 “신음”한다(로마서 8:22).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 후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민족이 불안과 두려움과 죽음의 세력 앞에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3년째 곤경에 처해 있다.

예레미야의 애가처럼 “고난과 재난 곧 쑥과 담즙”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런 것만 보고 있으면 낙심과 고통이 오고 고통이 길어지면서 “나의 힘도 하나님에 대한 나의 소망”도 끊어진 듯 느껴진다. 그러나 “마음속에 다시 생각한 즉 오히려 소망이 되었다”(예레미야애가 3:18,19,21). 첫 번째 생각은 본능적인 생각이다. 거기서 그치지 말고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라. 영적인 조망이 필요하다. 땅만 내려다보고 살면 고통과 낙심뿐이다. 그러나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보며 두 번째 생각, 즉 영적인 생각을 하면 낙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보인다. 육적인 생각은 낙심이지만 영적인 생각은 “소망”을 불러일으킨다. 상황은 변한 것이 없지만 자비와 긍휼과 은혜가 무궁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보인다 – “아침마다 새로운 하나님의 신실하심”(예레미야애가 3:23). 왜 새 해와 새 날을 주시는가? – 오늘을 새롭게 살라고.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. 우리에게 있는 것은 오늘뿐이다. 한 날 괴로움은 그날에 족하다(마태복음 6:34).

날이 밝으면 하나님께서 오늘 필요한 새로운 “긍휼과 자비와 은혜”를 베풀어 주신다. 하나님께로 생각을 바꾸면 소망이 생긴다. 아침마다 새 희망, 새 힘이 솟아오른다. 우리는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시다. 하나님을 “바라고 기다리고 구하는” 영혼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선을 베푸신다. 그래서 “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”라고 고백한다(예레미야애가 3:24~26). 처음의 생각은 우리를 흑암에 빠뜨려도 다시 생각해 보면 신실하신 하나님이 보이고 그 분의 은혜를 기다릴 때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 반드시 나타난다. 이 신앙적 고백에는 몸과 마음과 영혼의 치유와 회복과 평화가 있다.

발행인 김상복 목사

전체 0

« 하루씩만 행복하게 살아가면 된다(2022년 1월)
내 한 표로 나라를 구하자(2022년 3월) »
목록보기 답글쓰기
Powered by KBoard
  • 2016년

다시 생각해 보라(2022년 2월)

작성자
한국오늘의양식사
작성일
2022-01-28 04:22
조회
90


다시 생각해 보라



인간에게 공통적인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고난일 것이다. 지금까지 피해왔다면 다행이지만 언젠가는 찾아온다.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다 함께 “신음”한다(로마서 8:22).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 후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민족이 불안과 두려움과 죽음의 세력 앞에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3년째 곤경에 처해 있다.

예레미야의 애가처럼 “고난과 재난 곧 쑥과 담즙”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런 것만 보고 있으면 낙심과 고통이 오고 고통이 길어지면서 “나의 힘도 하나님에 대한 나의 소망”도 끊어진 듯 느껴진다. 그러나 “마음속에 다시 생각한 즉 오히려 소망이 되었다”(예레미야애가 3:18,19,21). 첫 번째 생각은 본능적인 생각이다. 거기서 그치지 말고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라. 영적인 조망이 필요하다. 땅만 내려다보고 살면 고통과 낙심뿐이다. 그러나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보며 두 번째 생각, 즉 영적인 생각을 하면 낙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보인다. 육적인 생각은 낙심이지만 영적인 생각은 “소망”을 불러일으킨다. 상황은 변한 것이 없지만 자비와 긍휼과 은혜가 무궁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보인다 – “아침마다 새로운 하나님의 신실하심”(예레미야애가 3:23). 왜 새 해와 새 날을 주시는가? – 오늘을 새롭게 살라고.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. 우리에게 있는 것은 오늘뿐이다. 한 날 괴로움은 그날에 족하다(마태복음 6:34).

날이 밝으면 하나님께서 오늘 필요한 새로운 “긍휼과 자비와 은혜”를 베풀어 주신다. 하나님께로 생각을 바꾸면 소망이 생긴다. 아침마다 새 희망, 새 힘이 솟아오른다. 우리는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시다. 하나님을 “바라고 기다리고 구하는” 영혼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선을 베푸신다. 그래서 “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”라고 고백한다(예레미야애가 3:24~26). 처음의 생각은 우리를 흑암에 빠뜨려도 다시 생각해 보면 신실하신 하나님이 보이고 그 분의 은혜를 기다릴 때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 반드시 나타난다. 이 신앙적 고백에는 몸과 마음과 영혼의 치유와 회복과 평화가 있다.

발행인 김상복 목사

전체 0

« 하루씩만 행복하게 살아가면 된다(2022년 1월)
내 한 표로 나라를 구하자(2022년 3월) »
목록보기 답글쓰기
Powered by KBoard
  • 2017년

다시 생각해 보라(2022년 2월)

작성자
한국오늘의양식사
작성일
2022-01-28 04:22
조회
90


다시 생각해 보라



인간에게 공통적인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고난일 것이다. 지금까지 피해왔다면 다행이지만 언젠가는 찾아온다.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다 함께 “신음”한다(로마서 8:22).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 후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민족이 불안과 두려움과 죽음의 세력 앞에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3년째 곤경에 처해 있다.

예레미야의 애가처럼 “고난과 재난 곧 쑥과 담즙”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런 것만 보고 있으면 낙심과 고통이 오고 고통이 길어지면서 “나의 힘도 하나님에 대한 나의 소망”도 끊어진 듯 느껴진다. 그러나 “마음속에 다시 생각한 즉 오히려 소망이 되었다”(예레미야애가 3:18,19,21). 첫 번째 생각은 본능적인 생각이다. 거기서 그치지 말고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라. 영적인 조망이 필요하다. 땅만 내려다보고 살면 고통과 낙심뿐이다. 그러나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보며 두 번째 생각, 즉 영적인 생각을 하면 낙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보인다. 육적인 생각은 낙심이지만 영적인 생각은 “소망”을 불러일으킨다. 상황은 변한 것이 없지만 자비와 긍휼과 은혜가 무궁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보인다 – “아침마다 새로운 하나님의 신실하심”(예레미야애가 3:23). 왜 새 해와 새 날을 주시는가? – 오늘을 새롭게 살라고.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. 우리에게 있는 것은 오늘뿐이다. 한 날 괴로움은 그날에 족하다(마태복음 6:34).

날이 밝으면 하나님께서 오늘 필요한 새로운 “긍휼과 자비와 은혜”를 베풀어 주신다. 하나님께로 생각을 바꾸면 소망이 생긴다. 아침마다 새 희망, 새 힘이 솟아오른다. 우리는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시다. 하나님을 “바라고 기다리고 구하는” 영혼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선을 베푸신다. 그래서 “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”라고 고백한다(예레미야애가 3:24~26). 처음의 생각은 우리를 흑암에 빠뜨려도 다시 생각해 보면 신실하신 하나님이 보이고 그 분의 은혜를 기다릴 때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 반드시 나타난다. 이 신앙적 고백에는 몸과 마음과 영혼의 치유와 회복과 평화가 있다.

발행인 김상복 목사

전체 0

« 하루씩만 행복하게 살아가면 된다(2022년 1월)
내 한 표로 나라를 구하자(2022년 3월) »
목록보기 답글쓰기
Powered by KBoard
  • 2018년

다시 생각해 보라(2022년 2월)

작성자
한국오늘의양식사
작성일
2022-01-28 04:22
조회
90


다시 생각해 보라



인간에게 공통적인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고난일 것이다. 지금까지 피해왔다면 다행이지만 언젠가는 찾아온다.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다 함께 “신음”한다(로마서 8:22).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 후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민족이 불안과 두려움과 죽음의 세력 앞에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3년째 곤경에 처해 있다.

예레미야의 애가처럼 “고난과 재난 곧 쑥과 담즙”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런 것만 보고 있으면 낙심과 고통이 오고 고통이 길어지면서 “나의 힘도 하나님에 대한 나의 소망”도 끊어진 듯 느껴진다. 그러나 “마음속에 다시 생각한 즉 오히려 소망이 되었다”(예레미야애가 3:18,19,21). 첫 번째 생각은 본능적인 생각이다. 거기서 그치지 말고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라. 영적인 조망이 필요하다. 땅만 내려다보고 살면 고통과 낙심뿐이다. 그러나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보며 두 번째 생각, 즉 영적인 생각을 하면 낙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보인다. 육적인 생각은 낙심이지만 영적인 생각은 “소망”을 불러일으킨다. 상황은 변한 것이 없지만 자비와 긍휼과 은혜가 무궁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보인다 – “아침마다 새로운 하나님의 신실하심”(예레미야애가 3:23). 왜 새 해와 새 날을 주시는가? – 오늘을 새롭게 살라고.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. 우리에게 있는 것은 오늘뿐이다. 한 날 괴로움은 그날에 족하다(마태복음 6:34).

날이 밝으면 하나님께서 오늘 필요한 새로운 “긍휼과 자비와 은혜”를 베풀어 주신다. 하나님께로 생각을 바꾸면 소망이 생긴다. 아침마다 새 희망, 새 힘이 솟아오른다. 우리는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시다. 하나님을 “바라고 기다리고 구하는” 영혼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선을 베푸신다. 그래서 “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”라고 고백한다(예레미야애가 3:24~26). 처음의 생각은 우리를 흑암에 빠뜨려도 다시 생각해 보면 신실하신 하나님이 보이고 그 분의 은혜를 기다릴 때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 반드시 나타난다. 이 신앙적 고백에는 몸과 마음과 영혼의 치유와 회복과 평화가 있다.

발행인 김상복 목사

전체 0

« 하루씩만 행복하게 살아가면 된다(2022년 1월)
내 한 표로 나라를 구하자(2022년 3월) »
목록보기 답글쓰기
Powered by KBoard
  • 2019년

다시 생각해 보라(2022년 2월)

작성자
한국오늘의양식사
작성일
2022-01-28 04:22
조회
90


다시 생각해 보라



인간에게 공통적인 것이 한 가지 있다면 그것은 고난일 것이다. 지금까지 피해왔다면 다행이지만 언젠가는 찾아온다. 인간과 모든 피조물이 다 함께 “신음”한다(로마서 8:22). 눈에 보이지도 않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나타난 후 전 세계 모든 나라와 민족이 불안과 두려움과 죽음의 세력 앞에 아무런 힘을 쓰지 못하고 3년째 곤경에 처해 있다.

예레미야의 애가처럼 “고난과 재난 곧 쑥과 담즙”과 같은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. 이런 것만 보고 있으면 낙심과 고통이 오고 고통이 길어지면서 “나의 힘도 하나님에 대한 나의 소망”도 끊어진 듯 느껴진다. 그러나 “마음속에 다시 생각한 즉 오히려 소망이 되었다”(예레미야애가 3:18,19,21). 첫 번째 생각은 본능적인 생각이다. 거기서 그치지 말고 다시 한번 더 생각해 보라. 영적인 조망이 필요하다. 땅만 내려다보고 살면 고통과 낙심뿐이다. 그러나 고개를 들고 하늘을 쳐다보며 두 번째 생각, 즉 영적인 생각을 하면 낙심이 사라지고 희망이 보인다. 육적인 생각은 낙심이지만 영적인 생각은 “소망”을 불러일으킨다. 상황은 변한 것이 없지만 자비와 긍휼과 은혜가 무궁하신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보인다 – “아침마다 새로운 하나님의 신실하심”(예레미야애가 3:23). 왜 새 해와 새 날을 주시는가? – 오늘을 새롭게 살라고. 어제는 지나갔고 내일은 아직 오지 않았다. 우리에게 있는 것은 오늘뿐이다. 한 날 괴로움은 그날에 족하다(마태복음 6:34).

날이 밝으면 하나님께서 오늘 필요한 새로운 “긍휼과 자비와 은혜”를 베풀어 주신다. 하나님께로 생각을 바꾸면 소망이 생긴다. 아침마다 새 희망, 새 힘이 솟아오른다. 우리는 신실하지 못해도 하나님은 변함없이 신실하시다. 하나님을 “바라고 기다리고 구하는” 영혼에게 하나님은 반드시 선을 베푸신다. 그래서 “사람이 여호와의 구원을 바라고 잠잠히 기다림이 좋도다”라고 고백한다(예레미야애가 3:24~26). 처음의 생각은 우리를 흑암에 빠뜨려도 다시 생각해 보면 신실하신 하나님이 보이고 그 분의 은혜를 기다릴 때 하나님의 도우시는 손길이 반드시 나타난다. 이 신앙적 고백에는 몸과 마음과 영혼의 치유와 회복과 평화가 있다.

발행인 김상복 목사

전체 0

« 하루씩만 행복하게 살아가면 된다(2022년 1월)
내 한 표로 나라를 구하자(2022년 3월) »
목록보기 답글쓰기
Powered by KBoard

이메일 구독 신청

구독신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메일 수신함이나 스팸 폴더를 확인하세요.

2022 5월
토 월 목 수 목 금 토
1234567
891011121314
15161718192021
22232425262728
293031  
« 4월    

당신의 후원을 기다립니다.

ARS 후원 1877-0608

QR코드

할렐루야교회
ODB USA
오늘의 양식 youtube
후원하기
Copyright 1990 -  한국오늘의양식사 | All Rights Reserved | For More Information, Please Contact Webmaster | 이용약관 | 개인정보취급방침 | 이메일 주소 무단 수집거부

(13509)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야탑로 368 | 구독문의 TEL 031)780-9565~7 | 상담시간 (월~금:9:00~17:00) | 사단법인 기독교할렐루야선교원 | 황규호 | 고유번호 120-82-01541